
아래 내역은 수입건 발생 시 이카운트에 내역을 정리하는 방법입니다.업무 발생 순서에 따라 아래 절차는 회사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저는 총 6단계로 나누어 업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. 절차1. 수입건별 관리번호 등록 ● 화면 : 회계II → 수입비용 → 관리번호 등록(1) 신규(단축키 F2) (2) 관리번호등록 팝업 정보 입력 ▶ 정보는 회사의 정리 기준에 맞게 등록하면 됨 (아래 내용은 참고만) · 관리번호코드 : 수입신고번호 · 관리번호명 : 수입년월+수입신고번호 · 거래처 : 수입처 · 최초거래일 : 입항일 · 적요 : 일반수입 or 무상수입 등 (3) 관리번호등록 정보 입력 후 [저장] 절차2. 수입 금액 구매전표 입력 및 매입대금청구서 생성 ● 화면 : 재고I → 구매관리 → 구매 → ..

부가가치세 신고 후에는 신고한 금액에 대한 부가세 예수금과 부가세 대급금 정리를 해야 합니다.이카운트에서 부가세 신고 후 일반전표를 입력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부가세예수금, 부가세대급금 잔액 확인 방법 1. [회계I → 장부 → 계정별원장]을 클릭합니다.2. 계정별 원장에 검색 정보를 입력한 후 [검색]을 클릭합니다. - 기준일자 : 부가가치세 신고서에 있는 신고기간과 동일한 일자- 계정 : 부가세대급금, 부가세예수금 (계정 1개씩 입력해도 되고, 동시에 2개 입력해도 됨) 3. 조회된 계정의 최종 잔액을 확인합니다. 최종 잔액은 신고기간의 가장 마지막 일자 잔액입니다. 부가가치세 신고 후 일반전표 입력 방법 회사에 따라 부가세 신고 후 실제 납부(환급)하는 날에 전표를 입력하는 경우도 있고, 신고..

이카운트는 전표입력 시 사용하는 계정과 손익계산서에 표시되는 계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.최근 전표입력 시 사용하는 접대비 계정을 손익계산서에서만 업무추진비로 보이게 설정하였습니다. 설정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.1. 회계 I → 기초등록 → 계정등록을 눌러주세요.2. 표시방법을 수정할 계정을 클릭해 주세요. 3. 기본, 코드정보, 표시방법 중 표시방법을 누릅니다.표시방법 1과 표시방법 2의 상태가 '표시'로 되어 있다면 현재 손익계산서에 표시가 되고 있다는 뜻입니다.4. 전표입력 시 사용할 계정명은 그대로 두고, 표시방법 1의 표시명을 수정합니다.접대비에 대한 계정명이 업무추진비로 변경이 되어, 이카운트에서 변경을 해주었습니다. 계정명도 업무추진비로 바꿔놓을까 하다가 전표만 입력하여 잔액만 확인하고,..
- 홈택스 세금계산서 거래처 등록
- 홈택스 거래처 등록
- 수출실적명세서 등록 방법
- 위하고일마감
- 이카운트 재직증명서
- 위하고 수출실적명세서 등록방법
- 이카운트 증명서발급
- 수입건 정리
- 위하고 수출실적명세서 등록
- 로또
- 동행복권
- 위하고전표마감
- 위하고 전표입력
- 위하고 수출실적 등록
- 이카운트 수입건 정리
- 전자세금계산서 거래처 등록
- 로또복권
- 이카운트 경력증명서
- 이카운트 수입건
- 홈택스 거래처 관리
- 위하고전표입력마감
- 수입 인보이스 금액 전표 입력
- 위하고 일마감
- 이카운트
- 수입제반비용 전표
- 티스토리
- 위하고 전표마감
- 수입건 전표입력
- 이카운트 재직증명서 발급
- 국세청 거래처 관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